현대 남자 한복은 배자나, 조끼와 마고자를 입는 2가지의 형태로 주로 입기 때문에, 다음 ‘배자를 입을 때’, ‘조끼와 마고자를 입을 때’와 같이 경우에 따라 맵시 있게 입는다.
배자 입을 때
- 속옷입기
- 바지 입기
- 저고리 입기
- 배자입기
- 두루마기 입기
- 매무새
- 속옷 입기
- 남성은 기본 속옷을 입고, 상의 속옷은 V형의 깃 선 밖으로 속옷이 보이지 않도록 속옷의 목선을 주의하여 입도록 한다.
- 바지 입기
- 허리끈 매기
남자바지는 큰사폭이 오른쪽 다리에 오도록 입는다.
양손을 사용하여 바지의 여분을 오른쪽으로 잡은 후 왼쪽으로 넘겨 접는다.
허리끈을 뒤에서 앞 허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잘 묶은 후 고름과 같은 순서로 매듭 진다.
허리의 윗 쪽을 끈 아래로 접어 정리해 주면,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아 좋다.
- 대님 매기
안쪽 복사뼈에 바지의 마루폭 선을 댄다.
바깥쪽으로 돌려 싸서 안쪽 복사뼈에 바지 끝을 댄다. 남은 여분의 바지 단을 안에서 밖으로 접어 바깥쪽 복사뼈에 붙여 정리한다.
대님의 중앙을 복사뼈 안쪽에서 맞춘다.
바깥쪽으로 한 바퀴 감아 대님 끝이 복사뼈 안쪽으로 다시 돌아오도록 맞춘다.
대님을 발목 안쪽에서 매듭질 수 있도록 묶은 후, 고름과 같은 순서로 매듭진다.
바지 끝을 정리하고, 대님이 보이지 않게 바지를 내려서 정리한다.

※ 허리띠와 대님은 바지의 색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데, 본 그림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지와 대님의 색을 다르게 하였음.
- 저고리 입기
-
- 저고리를 입고 안 고름이 있을 경우, 안 고름을 매고, 겉에 스냅단추가 있을 경우 단추로 기본 여밈을 한다.
- 겉고름을 맨 후, 어깨솔기와 고대가 어깨선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약간 앞으로 숙여 정리하고, 진동선의 구김을 정리하여 입는다.
- 배자 입기
-
- 저고리 위에 배자를 입고, 배자에 있는 단추로 여민 후, 고름을 매어 마무리한다. 고름이 없는 배자인 경우 단추로 마무리한다.
- 배자는 소매가 없으므로 어깨선이 어깨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입으면 된다.
- 두루마기 입기
-
배자 위에 두루마기를 입고, 옷 안쪽에 있는 안 고름을 매어준다.
저고리와 마찬가지로 겉고름을 맨 후, 어깨솔기와 고대가 어깨선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약간 앞으로 숙여 정리하고, 진동선의 구김을 정리하여 입는다.
- 매무새
-
- 두루마기까지 입은 후 진동선의 구김을 정리하고, 저고리의 소매 끝이 두루마기 소매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소매 끝의 매무새를 정리하도록 한다. 외출할 때는 한복과 어울리는 신발을 신는 것이 좋다.
조끼, 마고자를 입을 때
- 속옷 입기(버선)
- 바지 입기
- 저고리 입기
- 배자조끼 입기
- 마고자 입기
- 두루마기 입기
- 매무새
- 속옷, 바지, 저고리 입기
-
- 조끼 입기
-
- 저고리를 입은 후 그 위에 조끼를 입고, 단추로 정리한다. 이때 어깨선이 어깨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입는다.
- 마고자 입기
-

-
- 조끼 위에는 마고자를 덧입는다. 마고자는 앞이 여며 입는 옷이 아니기 때문에 독특한 단추가 있으므로, 단추 끼우기를 주의하면 된다.
- 천으로 된 단추 구멍에 마고자 단추를 아래에서 위로 끼워서 천 고리에 걸리게 한 후, 밑으로 늘어뜨린다.
- 저고리와 마찬가지로, 어깨선이 어깨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입고, 진동선의 구김을 정리한다.
- 두루마기 입기
-
- 마고자 위에 두루마기를 입고, 옷 안쪽에 있는 안 고름을 매어준다.
- 저고리와 마찬가지로 겉고름을 맨 후, 어깨솔기와 고대가 어깨선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약간 앞으로 숙여 정리하고, 진동선의 구김을 정리하여 입는다.
- 매무새
-
- 저고리, 마고자, 두루마기의 진동선의 구김이 엇갈리지 않도록 정리하고, 저고리와 마고자의 소매 끝이 두루마기 소매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소매 끝의 매무새를 정리하도록 한다.